본문 바로가기

음악

한국의 전통 음악 기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기 (산조,시나위,수제천,여민락,대취타,취타,사물놀이,농악,종묘제례악)

반응형

한국의 전통음악 기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묘제례악

산조

기악 독주곡으로 느린 장단에서 시작하여 빠른 장단으로 끝을 맺는 구조를 가지며 장구나 북으로 반주합니다.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는데, 가야금으로 연주하면 가야금 산조, 거문고로 연주하면 거문고 산조라고 합니다. 

시나위 

전라도의 선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악기들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합주 음악입니다. 서로 다른 가락을 연주하지만,기본적인 음계와 장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자 연주하면서도 통일성을 이루는 음악이 됩니다.

수제천

옛날 궁정음악의 하나로, 일명 정읍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이합주곡은 4장으로 피리가 주된 가락을 연주하고 길게 지속음을 연주하면 대금, 해금, 아쟁, 당적 등이 주된 가락을 계속 발전시키는 웅장하고 장엄한 곡입니다. 궁중 연례 및 무용에 사용하여 오늘에 이르는 궁중 음악 가운데 가장 뛰어납니다.

여민락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에 가락을붙여서 큰 잔치나 행사에 쓰도록 한 것입니다. 이 곡은 궁중 음악에서 첫째로 꼽던 대곡으로, 무겁고 힘차며 평화로운 기운이 어리어 있습니다. 7장으로 구성된 이 합주곡은 원래 가사를 사용한 곡이었으나, 지금은 관현악 합주곡으로만 연주됩니다. 

대취타와 취타

대취타

육군과 해군등 군대의 악대가 연주하는 군악 계통 음악으로 구군악,무령곡이라고도 합니다. 이 음악은 주로 왕이 행차할 때 또는 군대의 행진 및 개선 때에 쓰였던 것으로 현재 전해지고 있는 것은 많은 변형이 된 모습입니다. 여기에 편성되는 악기는 태평소를 비롯해 나발, 나각, 징, 자바라, 장구 북 등으로 이 악기들이 한 곳에 어울려 불고 치면서 경쾌한 맛을 냅니다.

취타

대취타를 관현악기가 합주할 수 있도록 고쳐만든곡을 취타라고 합니다. 연주는 앉아서 하고, 경쾌하고 힘찬 곡입니다.

 

사물놀이

농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들 가운데 꽹과리, 징, 장구, 북 등으로 연주되는 타악 음악입니다. 무대에 앉아서 하는 사물놀이를 앉은반 서서하면 선반이라고 부릅니다.

농악

오랜 세월에 걸쳐 농민의 생활 감정에 깊이 뿌리를 두고 이어온 민속악으로 , 주로 집단 노동이나 오락 또는 고유의 종교 의식에 쓰였습니다. 농악을 하는 시기는 모심기 때나 논매기 때 농사일이 끝나는 10월에 많지만 정월에도 집집마다 돌면서 농악을 하기도 합니다.

 

종묘 제례악

종묘에 조선 시대의 왕과 왕후의 신위를 모시고, 1년에 1번 5월 첫째 일요일에 제향을 받들 때 연주되는 음악으로, 주요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종묘악은 크게 정대업과 보태평으로 나누는데 특히 선조의 위업과 공덕을 찬양하는 악장이라는 성악곡과, 일무라는 춤이 따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