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음악

전통음악에 대해 알아보기(음계,장단,갈래,기보법) 한국의 전통 음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통음악의 음계 12 율명: 서양 음계의 음이름처럼 전통음악의 음계에 쓰이는 12개의 음에 붙어져 있는 음이름을 말합니다. 율명을 악보에 적을 때는 흔히 첫 자만 따서 적습니다. 예를 들어 황종은 '황'으로, 태주는 '태로' 중려는 중으로 적습니다. 5음 음계: 다섯 음으로 이루어진 지닌 음계를 5음 음계라고 합니다. 전통음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평조 음계: 5음으로 이루어지면서 각 음은 2도 거리이지만 제2음과 제3음, 제5음과 제6음 사이가 3도로 되어 있는 음계입니다. 서양 음계의 장조와 비슷하여 밝고 명랑한 느낌을 줍니다. 계면조: 주로 5음으로 이루어지며 제1음과 2음, 제4음과 5음 사이가 3도로 되어 있고 나머지가 2도로 되어 있는 음계입니다. 서양.. 더보기
한국의 전통 음악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기 (가곡,시조,가사,판소리,범패,민요) 한국의 전통음악 중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곡 시조시를 소규모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형식입니다. 반주 악기는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해금, 대금, 장구 등이며 연주 형태는 남창, 여창, 남녀창 등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양반 계층에서 불리던 음악으로 매우 깊고 그윽한 맛을 자아냅니다. 가곡은 원래 만대엽, 중대엽,삭대엽 등이 있었으나, 템포가 느린 만대엽과 중대엽은 불러지지 않고 삭대엽만 남아 있습니다. 시조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노래하는 것입니다. 가곡과 비교해 볼 떄 시조시를 놀의 가사로 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음악적 형식에 있어서 시조시는 3장의 형식임에 비하여 가곡은 5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가곡은 흔히 소규모 관현 반주를 맞추어 노래하지만 시조는 장..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