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전통음악

한국의 전통 음악 기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기 (산조,시나위,수제천,여민락,대취타,취타,사물놀이,농악,종묘제례악) 한국의 전통음악 기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조 기악 독주곡으로 느린 장단에서 시작하여 빠른 장단으로 끝을 맺는 구조를 가지며 장구나 북으로 반주합니다.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는데, 가야금으로 연주하면 가야금 산조, 거문고로 연주하면 거문고 산조라고 합니다. 시나위 전라도의 선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악기들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합주 음악입니다. 서로 다른 가락을 연주하지만,기본적인 음계와 장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자 연주하면서도 통일성을 이루는 음악이 됩니다. 수제천 옛날 궁정음악의 하나로, 일명 정읍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이합주곡은 4장으로 피리가 주된 가락을 연주하고 길게 지속음을 연주하면 대금, 해금, 아쟁, 당적 등이 주된 가락을 계속 발전시키는.. 더보기
한국의 전통 음악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기 (가곡,시조,가사,판소리,범패,민요) 한국의 전통음악 중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곡 시조시를 소규모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형식입니다. 반주 악기는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해금, 대금, 장구 등이며 연주 형태는 남창, 여창, 남녀창 등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양반 계층에서 불리던 음악으로 매우 깊고 그윽한 맛을 자아냅니다. 가곡은 원래 만대엽, 중대엽,삭대엽 등이 있었으나, 템포가 느린 만대엽과 중대엽은 불러지지 않고 삭대엽만 남아 있습니다. 시조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노래하는 것입니다. 가곡과 비교해 볼 떄 시조시를 놀의 가사로 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음악적 형식에 있어서 시조시는 3장의 형식임에 비하여 가곡은 5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가곡은 흔히 소규모 관현 반주를 맞추어 노래하지만 시조는 장..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