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한국의 전통 음악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기 (가곡,시조,가사,판소리,범패,민요)

반응형

한국의 전통음악 중 성악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판소리 

가곡

시조시를 소규모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형식입니다. 반주 악기는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해금, 대금, 장구 등이며 연주 형태는 남창, 여창, 남녀창 등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양반 계층에서 불리던 음악으로 매우 깊고 그윽한 맛을 자아냅니다. 가곡은 원래 만대엽, 중대엽,삭대엽 등이 있었으나, 템포가 느린 만대엽과 중대엽은 불러지지 않고 삭대엽만 남아 있습니다.

 

시조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노래하는 것입니다. 가곡과 비교해 볼 떄 시조시를 놀의 가사로 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음악적 형식에 있어서 시조시는 3장의 형식임에 비하여 가곡은 5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가곡은 흔히 소규모 관현 반주를 맞추어 노래하지만 시조는 장구 장단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고, 장구가 없으면 무릎 장단으로도 노래할 수 있습니다.

 

가사

가곡의 사설보다는 비교적 길어서 가사라고 불립니다. 사설의 길이에 따라서 가락의 반복이 많고, 또 중간에서 장단이 변하여 빨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12곡뿐이며, 가락이 유항하고 섬세하며 부드럽게 불려지는 성악곡입니다.

 

판소리

판소리는 한 사람의 소리꾼이 북 장단에 맞춰, 긴 사설을 간단한 몸짓을 하면서 노래 또는 말로 엮어 가는 극적인 성악곡입니다. 옛날에는 판소리를 넓은 마당에서 많은 구경꾼들이 둘러선 가운데 불렀습니다. 이러한 마당을 판이라 부르는데, 판소리란 판에서 불리는 소리라는 뜻입니다. 판소리는 원래 12마당 이었으나 현제는 춘향가, 흥부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5마당뿐입니다. 판소리의 구성 요소로는 소리, 아니리, 발림이 있습니다. 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의 장단을 기본으로 하여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것이고, 아니리는 소리 중간중간에 설명 또는 대화식으로 어떠한 정경과 장면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발림은 소리를 하면서 동작으로 여러 가지 표현을 실감 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범패

인도 소리라는 뜻의 불교 음악입니다.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절에서 재를 올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불교 음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불교 음악은 화청, 회심곡 같이 불교의 교리를 우리말로 쉽게 풀어 일반인들이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음악이 있고, 한문 가사나 범어로 된 노래를 부르는 홑소리, 짓소리가 있습니다.

 

민요

민요는 예로부터 불러 내려온 향토 음악입니다. 우리 민요는 민족의 정서가 배어있고 희로애락의 감정이 소박하게 우러나온 노래이므로 지방에 따라 그 특징이 있는 가락과 향토색을 지니고 있는 귀중한 음악의 유산입니다. 우리 나라의 민요에는 농업이나 어업 등 노동 민요가 가장 많고, 이 밖에 다양한 소재와 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민요는 서양음악과 달리 주로 5음 음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민요의 특징은 가락의 변화와 꾸밈이 많고, 3박자 계통을 중심으로 메기고 받는 형식이 많다는 것입니다. 

토속민요와 통속 민요

토속민요는 일정한 지역에서 부르는 노래로, 사설이나 가락이 소박하고 향토색이 짙습니다. 또 일정한 지역에서만 불려지는 것이 아니라, 아리랑 도라지 타령처럼 널리 퍼져서 사람들에게 잘 불려지는 노래입니다. 

 

 

 

 

 

반응형